본문 바로가기

별거아닌 잡학사전19

강감찬 장군, 역사를 빛낸 명장 역사를 빛낸 명장, 강감찬 우리 역사에서 최고의 명장은 누구일까요?. 아마 국민 대부분은 조선의 '이순신'장군을 뽑을 겁니다. 우리 역사를 살펴보면 시대별로 나라를 구하고 역사에 이름을 남긴 명장들이 꽤 있는데요. 고구려의 을지문덕 장군, 백제의 계백장군, 신라의 김유신 장군이 삼국시대의 대표적인 명장으로 기억됩니다. 고려로 넘어오면 거란과의 전쟁을 승리로 이끈 강감찬 장군과, 고려말 최영 장군이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은 고구려의 명장 '강감찬'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고려 거란 전쟁'을 배경으로 하는 KBS 대하사극에 최수종 배우가 강감찬 역을 맡아 열연을 펼치고 있습니다. 문관 출신의 명장, 강감찬 강감찬은 고려 제8대 왕 현종의 신임을 얻고 나라의 운명이 걸린 전투 귀주대첩을 승리로 이끈 전.. 2023. 2. 20.
알콜성 치매 증상과 예방법 술자리 많은 당신도 알콜성 치매, 주의해야 합니다. 알콜성 치매는 과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치매의 한 종류입니다. 알콜성 치매로 나타나는 증상인 단기 기억상실은, 새로운 기억이 장기 기억으로 넘어가는 과정을 알코올로 인해 차단되기 때문에 나타납니다. 뇌에서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라는 부분과 연관이 있는데요. 지속적이고 과도한 음주는 뇌의 기능을 저하시키거나 마비시키게 됩니다. 세포 내로 칼슘이 유입되는 것을 방해하고 신경 전달 물질이 분비되는 것을 억제하여 산소 전달이 제대로 이어지지 못하도록 합니다. 알콜성치매 치료가 의심되는 분들을 보면 뇌의 기본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이라고 하는 GABA수치가 굉장히 낮으며 쉽게 흥분하거나 불안증세를 느끼고 예민해진다거나 초초하고 좌절하게 되며 과잉 행동을 하는 등의 다양.. 2023. 2. 16.
조선의 불운한 왕자 '소현세자' 불운한 왕자, 소현세자 '인조실록'에 기록된 소현세자의 죽음에 관한 의문에서 시작한 영화 '올빼미'를 보고 소현세자에 대한 관심이 커졌습니다. 소현세자는 조선후기 제16대 왕인 인조의 첫째 아들로 이름은 이왕(李炡)이고 어머니는 인열왕후(仁烈王后)이며 조선의 제17대 왕인 효종의 형입니다. 1637년 병자호란 삼전도 굴욕의 볼모로 끌려갔던 소현세자. 인조의 뒤를 이어 왕위 계승을 눈앞에 두고 있었던 세자가 8년 만의 인질 생활을 끝내고 귀국한 지 두 달 만에 의문의 죽음을 당합니다. 왕실의 공식 기록인 실록의 기록에서 조차 독살의 의심이 갈 정도였고, 세자의 사후에 인조가 취한 조처들을 보면 그의 죽음에 얽힌 비밀들은 무척이나 많아 보입니다. 소현세자, 청나라에서의 8년 소현세자는 8년간 청나라에서 볼모.. 2023. 2. 13.
역류성 식도염, 증상과 예방법 역류성 식도염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역류성 식도염은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여 식도의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위 내용물이 소량씩 식도로 역류하고, 이러한 역류의 과정이 반복되어 식도 점막이 손상되어 염증이 나타나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이는 위와 식도 사이에서 위의 내용물이 식도로 올라오는 것을 막아 주는 조임쇠 역할을 하는 괄약근에 이상이 생겨 발생합니다. 역류성 식도염 증상 바로 알기 1. 가슴쓰림 가슴쓰림은 대개 명치끝에서 목구멍 쪽으로 치밀어 오르는 것처럼 흉골 뒤쪽 가슴이 타는 듯한 증상을 말합니다. 환자는 이러한 증상을 ‘가슴이 쓰리다, 화끈거린다, 따갑다, 뜨겁다’ 등으로 묘사합니다. 이 통증은 견갑골(날개뼈) 사이, 목, 팔 쪽으로 뻗어갈 수 있습니다. 2. 위산 역류 위산 역류는 위액이.. 2023. 2. 13.
인생의 축소판 바둑, 생활 속 바둑 용어 일상생활 속에 숨어 있는 바둑 용어 바둑을 일러 인생의 축소판이라고 말합니다. 한 판의 바둑에는 만물의 생성과 소멸의 과정이 담겨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일까요, 바둑 용어가 우리 일상에 구석구석 스며들어 있습니다. 우리네 삶을 둘러싼 여러 방면에 다양한 바둑용어와 만나게 됩니다. 미생(未生)과 완생(完生) ​바둑에서 미생은 집이나 대마가 아직 완전하게 살아 있지 않은 상태를 말합니다. 완생은 집이나 돌이 완전히 살아 있는 상태입니다. ​ 호구(虎口) ​호구는 호랑이가 입을 벌리고 있는 모양으로 주변이 상대의 돌로 둘러싸여 한쪽만 트인 상태를 말하니다. 쉽게 말해 세 개의 돌이 삼각형 형태로 놓여있어 그 안에 돌을 두면 바로 따낼 수 있는 형태를 말하는데, 일상생활에서 어수룩하여 이용해 먹기 좋은 사람을 .. 2023. 2. 7.
고기를 사랑하는 한국인, 우리는 언제부터 고기를 먹었나 한국인은 언제부터 소고기를 먹었을까요?. 우리 민족은 부족국가 시대부터 삼국시대까지는 수렵과 목축이 성행하여 육류 요리가 발달하였습니다. 미리 조미한 고기를 꼬챙이에 꽂아 구운 맥적(貃炙)은 고구려 시대 때부터 즐겨먹던 우리 고유의 고기 요리로 불고기의 원조라고 할 수 있죠. 고구려의 안악 3호분 벽화에는 외양간과 마구간, 고기를 보관하는 저장고도 그려져 있는데, 고기 여러 점을 갈고리에 꿰어 걸어 놓은 이 저장고 그림을 보면 귀족들은 고기를 넉넉히 먹을 수 있는 계급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삼국시대에 들어서면서 농경 정착과 불교문화 정착으로 육식이 금지되었습니다. 하지만 고려말 불교가 쇠퇴하고 육식을 즐기는 원나라(몽골)의 지배를 받게 되면서 육식 풍조가 다시 성행하기 시작했습니다. 고기를 물에 넣어 .. 2023. 2. 7.
부자의 조건, 나도 부자가 되고 싶다. 대한민국 부자의 조건 대한민국에서 부자의 기준은 무엇일까요. 도대체 얼마를 벌어야 부자가 되는 걸까요. KB금융그룹에서 지난 12월에 '2022 한국부자보고서'라는 보고서를 발행하였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총자산이 100억이 넘어가면 실질적인 부자로 인식한다고 합니다. 총자산이라고 함은 거주형 부동산부터 금융 자산을 토털 포함한 총액수를 이야기합니다. 그렇다면 금융자산으로는 얼마를 비중으로 가지고 있으면 부자라고 생각 할까요? 금융자산 50억의 자산 규모를 갖게 되면 부자라고 인식한다고 합니다. 한국 부자는 2021년 말 기준 42만 4천명으로 수도권에 70.3%가 집중되어 있다고 합니다. 이들이 가지고 있는 총금융자산이 2,883조 원이라고 합니다. 정말 대단합니다. 부자들의 총자산 중 거주용 부동산이.. 2023. 2. 5.
중산층의 조건 나는 중산층일까?. 중산층의 조건이 무엇일까? 신문이나 뉴스를 보다보면 '중산층'이란 말을 자주 듣게 됩니다. 여러분들은 중산층에 속하고 계신가요?. 일반적으로 경제적, 사회문화적 수준이 중간 정도 되면서 스스로 중간층 의식이 있는 사회 집단을 중산층이라고 합니다. OECD는 각국의 중산층 기준을 중위소득의 75~200%에 해당하는 가구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 통계청에서는 중산층의 기준을 50~150% 기준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중위소득 75~200%를 적용해 보면 385만 원 ~ 1,020만 원입니다. 2022년 기준 4인 가구 중위 소득은 월 512만 원입니다.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중산층 중 45.6%가 스스로를 하위층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 2023. 2. 5.
2023 시니어를 위한 국가자격증 추천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추천하는 시니어 자격증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지난 해 발표한 ‘국가기술자격 통계연보’ 에서 최근 3년간 연령대별 국가기술자격 취득자 현황을 살펴보면 50대 이상에서 38.2%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50대 이상이 많이 취득한 5개 종목을 살펴보면 남성의 경우 지게차운전기능사∙굴착기운전기능사가 가장 많았고, 50대 이상 여성의 경우 한식조리기능사∙건축도장기능사를 가장 많이 취득한 걸로 조사되었습니다. 이는 재취업과 창업에 유리하기 때문으로 분석되는데요. 취업 지원 사이트의 구인 공고에서도 자격증을 보유한 사람을 우대하는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입니다. 지게차운전기능사 지게차운전기능사는 각종 건설업체, 건설기계 대여업체, 토목공사업체, 건설기계 제조업체, 금속제품 제조업체, 운송.. 2023. 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