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별거아닌 잡학사전

중산층의 조건

by goof 2023. 2. 5.
반응형

나는 중산층일까?. 중산층의 조건이 무엇일까?

 

신문이나 뉴스를 보다보면 '중산층'이란 말을 자주 듣게 됩니다.

여러분들은 중산층에 속하고 계신가요?.

일반적으로 경제적, 사회문화적 수준이 중간 정도 되면서 스스로 중간층 의식이 있는 사회 집단을 중산층이라고 합니다. OECD는 각국의 중산층 기준을 중위소득의 75~200%에 해당하는 가구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 통계청에서는 중산층의 기준을 50~150% 기준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중위소득 75~200%를 적용해 보면 385만 원 ~ 1,020만 원입니다.

2022년 기준 4인 가구 중위 소득은 월 512만 원입니다.

 

NH투자증권 100세시대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중산층 중 45.6%가 스스로를 하위층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무려 절반에 가까운 수치입니다.

 

 

 

그렇다면 한국인들이 생각하는 중산층의 조건은 무엇일까요?

 

2022년 우리나라 사람들이 인식하는 중상층 기준은

 

 

 

1. 월소득 : 686만원(4인 가구 기준) - 상위 24% 수준
2. 소비 기준 : 월소비 427만 원 이상 - 상위 9.4% 수준
3. 순자산 :  9억 4천만 원 - 상위 11%
4. 부동산 : 32평 이상, 부동산 8.4억 (수도권 중형 아파트) - 수도권 중형 아파트

 

기준과 현실과는 괴리가 있어 보입니다.

월소득은 그렇다 치더라도 월소비와 순자산에는 차이가 있어 보이네요.

한국인이 생각하는 중산층의 조건은 그냥 소득과 자산 수준에 촛점이 맞추어져 있네요.

 

 

다른 나라의 중산층 기준은 뭘까요?

 

I  미국의 중산층 조건  I
- 자기 주장에 떳떳할 것

- 사회적 약자를 도울 것

- 부정과 불법에 저항할 것

- 정기적으로 구독하는 비평 잡지가 있을 것

 

I  영국의 중산층 조건  I

- 페어플레이를 할 것
- 자신의 주장과 신념을 가질 것
- 나만의 독선을 지니지 말 것
- 약자를 두둔하고 강자에 대응할 것
- 불의, 불평, 불법에 의연히 대처할 것 


I  프랑스의 중산층 조건  I
- 외국어를 하나 정도 구사할 수 있을 것
- 직접 즐기는 스포츠가 있을 것

- 한 가지 이상의 악기를 다룰 수 있을 것
- 남들과 다른 맛을 낼 수 있는 요리 하나 정도는 만들수 있을 것
- 사회 봉사단체에 참여하여 활동할 것
- 남의 아이를 내 아이처럼 꾸짖을 수 있을 것

 

 

먼저 나라별 사람들이 꼽은 중산층의 3가지 기준들을 살펴보면,

 

미국 공립학교에서 가르치는 중산층의 기준은 자신의 주장에 떳떳하고, 사회적 약자를 도울 줄 알며, 부정과 불법에 저항할 줄 알아야 한다고 합니다.

 

영국에서는 자신의 주장과 신념을 가져야 하며, 하나 이상의 스포츠를 즐길 것과 약자를 돕는 마음을 가지는 것이고,

 

프랑스에서는 1개 이상의 외국어를 하고 악기를 하나 이상 다루며 자기만의 요리법을 가진 메뉴를 갖는 것을 꼽았습니다.

 

일본은 40만 엔 이상 월평균 소득, 일정 수준 이상의 금융자산 그리고 일정 수준의 상식과 사사 지식을,

 

중국은 30평형 이상 주택 보유, 꾸준한 사회봉사와 기부, 일정 수준의 금융자산을 중산층의 요건으로 꼽았습니다.

 

반면, 우리나라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월 500만 원 이상 급여, 부채 없는 아파트 30평 이상 소유와 2,000CC 이상 자동차 보유, 예금액 잔고 1억원 이상 보유, 연 1회 이상 해외여행 이라고 합니다.

응답자 대부분이 일정 수준 이상 금융자산을 갖지 못하거나 월 소득이 높지 않을 경우 아무리 많이 배우고 사회에 기여하는 바가 크더라도 중산층이 아니라고 생각한다는 것입니다.

각국의 중산층의 조건들을 비교했을 때 시사하는 바가 있는 것 같습니다.

다른나라 사회 기준에 맞춰 우리 삶을 무조건적으로 비판하려는 움직임도 자제해야지만, 먹고 사는 문제가 절박해지면서 중산층에 대한 기대도 경제적 측면만 강조되고 있는 현실도 쉽게 간과해서는 안될 것 같습니다.

 

GOOFY.

 

 

반응형

댓글